티스토리 뷰
제사 지방 쓰는법 양식 다운로드
설 명절 차례상 앞에서 매번 헷갈리게 되는 지방 쓰는 방법 쉽고 편하게 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을 쓸 때는‘현고학생부군신위' 를 기억하면 됩니다. 그래도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서 출력된 양식을 무료로 다운로드도 가능하고 간편한 양식으로 판매도 하고 있으니 구매하셔서 어렵지 않게 이용하시면 됩니다. 아래쪽에서 보다 자세하게 알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는 아래에서 하세요
제사 지방 쓰는법 양식 다운로드 자세한 정보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제사 지방 양식 다운로드
https://www.yesform.com/upjong/form/127815.php
매번 설 추석 명절이나 제사가 다가오면 상차림으로 분주한 집들이 많은데 그중에서도 어려워하는것이 상차림 그중 가장 마지막에, 가장 정중앙에 올라가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제사 지방입니다. 어려운 한자들이 쭉 나열되어 있는 제사 지방, 그 한자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차례에 모시는 분에 따라 달라지는 제사 지방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자세한 정보 확인하고 주문 하세요
제사 지방 양식 다운로드
지방이란 제사를 지낼 때 나무로 된 조상의 위패를 상에 올리는데 일반가정에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대신해 종이로 만든 위패를 지방이라고 합니다.
지방을 쓸 때는 규격이 있는데 차례상 또는 제사상에 올리는 지방은 보통 가로 6cm, 세로22cm입니다. 글씨는 세로로 작성해야 하며, 지방의 모서리나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합니다.
위 양쪽 모서리의 끝을 대각선으로 조금 잘라내주시면 됩니다. 한지나 A4용지를 이용해 작성해왔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프린터를 한다거나 한글로 작성을 하기도 합니다. 양식을 다운받아 사용하거나 판매되는 양식을 구매하는것도 편리한 방법입니다.
자세한 정보 확인하고 주문하세요
지방문안의 예시는 많이 나와 있는데요 아래를 통해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색으로 구분되어져 있는 부분을 변경하시면 되니 어렵지 않게 사용하세요 프린터 출력도 좋지만 한자씩 어설프더라도 정성껏 써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럼 즐거운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제사 지방 양식 다운로드하는곳
지방을 쓸때 주의할 점 및 쓰는 방법
일단 지방을 쓰기 전에는 조상에 대한 예의를 갖추어야하며 엄숙하게 하는것이 좋습니다.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것이 원칙이라고 합니다 한자에 능통한 분들과 익숙한 분들에게는 쉽지만 일년에 한두번만 하는 분들은 어려울수도 있는게 지방쓰는법 입니다
고인이 남자라면 벼슬이 있으면 學生(학생)대신에 벼슬의 관직(예를 들면 崇祿大夫등)을 기입을 하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대신에 貞敬夫人(정경부인)을 적으면 됩니다 여자의 지방 孺人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적도록 합니다
考(고)는 사후의 父(부;아버지)를 뜻하며 비는 사후의 母(모;어머니)를 의미 합니다 제사 지방을 붙일떄는 오른쪽 낮은 자리 왼쪽 높은자리 입니다 사이즈와 규격을 한번 알아보자면 규격은 가로 6 cm, 세로 22 cm인데요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잘라서 세워놓는게 정석입니다 또 지방은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한 번 사용한 뒤 바로 소각하는 게 관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