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시안컵 중계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최고의 축구 국가대표팀을 가리는 아시아 축구 연맹 산하 최상위 대륙 국가 대항전으로 대회에는 개최국,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진출국, AFC 아시안컵 예선 통과국 등 총 24개국이 본선 진출하게 되는데요. 대한민국 대표팀은 1956년과 1960년에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한 바 있으며, 64년 만의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이번 AFC 카타르 아시안컵은 TVN 스포츠 티빙 쿠팡플레이를 통해 생중계됩니다. 아래쪽에서 시청 하시기 바랍니다.
AFC 카타르 아시안컵 중계
FIFA 랭킹 23위의 한국 대표팀은 2022년까지 아시아 팀들 중에서 대한민국은 월드컵 최다 출전, 최다 승리, 최다 무승부, 최다 패배, 최다 득점, 최다 실점, 최고 순위를 기록하였으며,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토너먼트 경기를 이긴 아시아 팀으로 손흥민, 김민재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포진해 있어 전력이 매우 강하기때문에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이번 AFC 카타르 아시안컵은 TVN 스포츠 티빙 쿠팡플레이를 통해 생중계됩니다. 아래쪽에서 시청 하시기 바랍니다.
FIFA 랭킹 23위의 한국 대표팀은 2022년까지 아시아 팀들 중에서 대한민국은 월드컵 최다 출전, 최다 승리, 최다 무승부, 최다 패배, 최다 득점, 최다 실점, 최고 순위를 기록하였으며,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토너먼트 경기를 이긴 아시아 팀으로 손흥민, 김민재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포진해 있어 전력이 매우 강하기때문에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이번 AFC 카타르 아시안컵은 TVN 스포츠 티빙 쿠팡플레이를 통해 생중계됩니다. 아래쪽에서 시청 하시기 바랍니다.
아시안컵 중계
아시안컵 중계 바로가기
AFC 카타르 아시안컵 중계
E조에서 16강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팀은 대한민국과 요르단으로 요르단은 중동의 전통적인 축구 강호로, 2023년 아시안컵에서 다크호스로 꼽히고 있습니만 한국 대표팀은 바레인, 말레이시아, 요르단에 비해 전력이 앞서 있기 때문에 16강 진출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AFC 아시안컵의 최다 우승국은 4회 우승의 일본이며, 최다 진출국은 14회 진출의 대한민국과 이란입니다.
AFC 카타르 아시안컵 일정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요르단, 바레인 E조
1월 15일 20시 30분 vs 바레인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바레인
1월 20일 20시 30분 vs 요르단 – 알투마마 스타디움
1월 25일 20시 30분 vs 말레이시아 – 알자누브 스타디움
E조 1위를 가정 16강 진출시 – 1월 31일 20시 30분 D조 2위와 경기(이라크 유력)
E조 2위를 가정 16강 진출시 – 1월 31일 01시 F조 1위와 경기
(8강은 2월 2일과, 3일, 4일에 나뉘어져 치뤄집니다)
E조 1위로 진출하고 16강에서 D조 2위를 꺾고 8강 진출시 3일 20시 30분에 경기
4강 준결승은 2월 7일과 8일에 열림
E조 1위 진출후 16강, 8강 돌파하면 2월 8일 00시 경기
결승진출시 2월 11일 00시에 경기 상대는 일본 유력
아시안컵 역대 우승팀 / MVP
아시안컵 역대 우승팀
1위 – 일본(1992년, 2000년, 2004년, 2011년)
2위 – 사우디(1984년, 1988년, 1996년), 이란(1968년, 1972년, 1976년)
3위 – 한국(1956년, 1960년, 1, 2회 대회 연속 우승 후 우승 없음, 준우승 4회)
4위 – 이스라엘(1964), 쿠웨이트(1980), 호주(2015), 이라크(2007), 카타르(2019) 한번씩
아시안컵 역대 한국선수 MVP
1988년 카타르 대회 김주성
아시안컵 역대 일본선수 MVP
1992년 미우라 카즈요시, 2000년 나나미 히로시, 2004년 나카무라 슌스케, 2011년 혼다 케이스케로 다수
아시안컵 2000년 이후 득점왕과 이전 한국 선수 득점왕
1960년 조윤옥 4골
1980년 최순호 7골
1988년 이태호 3골
2000년 이동국 6골
2004년 바레인 – 알라 후바일, 이란 – 알리 카리미 5골 공동
2007년 이라크 – 유니스 마흐무드, 사우드 – 야셰르 알 카타니, 일본 – 타카하라 나오히로, 4골 공동
2011년 한국 구자철 5골
2015년 UAE – 알리 마브쿠트, 5골
2019년 카타르 – 알모에즈 알리 9골